개인공부/Web

[spring]스프링 처음부터 공부하기(4)

k솔이 2022. 12. 26. 19:10

스프링 빈을 등록하고, 의존관계 설정한다.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2가지 방법이 있다.

 

1.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(@Autowired)

  • @Component가 @Controller, @Service, @Repository을 포함하기 때문에 스프링빈으로 자동 등록된다.
  • 스프링은 스프링 컨테이너에 스프링 빈을 등록할때 기본적으로 싱글톤으로 등록한다. (유일하게 하나만 등록해서 공유한다.)
  • 따라서 같은 스프링 빈이면 모두 같은 인스턴스다. 특수한 경우 싱글톤이 아니게 설정이 가능하다.

 

 

 @Controller를 Ctrl+클릭해서 들어가보면 @Component가 포함되어 있다.(@Service, @Repository도 동일)

@Autowired 를 사용하여 컨트롤러 -> 서비스 -> 레포짓토리를 연결해준다. (@Service, @Repository도 동일)

 

 

 

 

2. 자바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등록하기

MemoryMemberRepository를 변경할때 다른 코드를 전혀 변경하지 않기위해 직접 스프링 빈을 등록한다.

(지금은 임시 메모리 공간)

 

Config 파일을 생성한다.

스프링이 실행될때 @Configuration 을 가자아 먼저 읽고 @ Bean 을 생성한다.

 


주입방법에는 3가지가 있다.

 

1.생성자 주입

 

 

2.필드주입

 

 

3.setter 주입

 

 


인프런 강의를 보면서 공부했습니다!
'스프링 입문 -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, 웹 MVC, DB 접근 기술'